2018. 2. 8.

[상식] 전체 지하철 각 노선표 1~9호선 분당선 중앙선 경춘선







[상식] 전체 지하철 각 노선표 1~9호선 분당선 중앙선 경춘선




수도권 전철 -위키백과

수도권 전철은 서울역앞역부터 청량리역까지 개통된 서울 지하철 1호선과 함께 경부선, 경원
선, 경인선과의 직결 운행을 개시한 것을 시초로 볼 수 있다. 성북역부터 서울역앞역을 경유,
인천역과 수원역에까지 이르는 최초의 수도권 전철 운행 계통은 이후 서울 지하철의 확충과
서울 근교 철도 구간의 전동차 운행을 통해 노선을 확충해 나가게 되었고, 2000년대에 이르
러서는 규칙성이 없던 노선들의 안내를 일괄적으로 정리하여 보다 확실한 수도권 전철 체계가
 정립되었다. 한편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일산선, 과천선, 안산선을 일괄적으로 수도권 전
철 혹은 ‘국철’로 부르던 것을 2000년에 ‘1호선’과 ‘3호선’, ‘4호선’으로 분리하였다.










수도권 전철 1호선-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도권 전철 1호선(首都圈 電鐵 一號線)은 경기도 동두천시에 있는 소요산역부터 인천광역시
 중구에 있는 인천역,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천안역,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는 신창역, 경
기도 광명시에 있는 광명역 그리고 경기도 오산시에 있는 서동탄역 등을 잇는 수도권 전철의
 운행 계통이다.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한다.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선, 경인선, 경부고속선, 병점기지선, 장항선 등의 여러 노선에 걸쳐 운행되며, 수도권
 전철 1호선이라는 명칭은 이들 노선에서 운행되는 열차에 대한 통합된 명칭이다. 안내 등에
 사용되는 노선 색은 남색이다. 현재 수도권 전철 노선 중 가장 긴 노선이다.(200.6km)







서울 지하철 2호선-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 지하철 2호선(서울 地下鐵 二號線)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도시 철도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운행 계통이다. 성수역과 신설동역 사이를 잇는 성수지선[1], 신도림역과 까치산역을
잇는 신정지선으로 구성된다. 운행 계통으로는 을지로 순환선을 시계 방향으로 순환하는 내선
순환과 시계 반대 방향으로 순환하는 외선 순환과, 성수지선과 신정지선을 왕복하는 운행 계통이
 있다. 노선 안내 등에 사용되는 노선 색은 초록색(색상코드는 #3CB44A)이 사용되고 있다.

2012년 기준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붐비는 노선으로 서울 지하철 전체 이
용 승객의 31%인 일평균 204만 8000명이 이 노선을 이용하고 있다.[2] 전 구간을 서울교통공사가
 담당한다.









서울 지하철 3호선-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 지하철 3호선(서울 地下鐵 三號線)은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에 있는 대화역과 서울특별
시 송파구에 있는 오금역을 잇는 서울특별시의 도시 철도 노선이다.

서울 지하철 4호선과 함께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역할을 극대화하고 지하철 이용률 증대측면에서
 도심을 방사선형으로 관통하는 노선의 필연적인 필요성에 의해서 건설된 노선으로 (3호선은 서
북쪽에서 동남쪽으로, 4호선은 동북쪽에서 서남쪽으로 관통) 서울 서북부 지역과 서울 동남부
지역을 대각선으로 연결한다.





서울 지하철 4호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 지하철 4호선(서울 地下鐵 四號線)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노원구의 당고개역과 서울특별시
동작구의 사당역을 잇는 서울특별시의 도시 철도 노선이다.

서울 지하철 3호선과 함께 서울 지하철 2호선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명동, 남대문 등 서울의
도심과 수유리, 미아리, 창동, 노원구 등의 강북의 도시 교통 음영 지역을 원활하게 이어주기 위
해 건설되었다





서울 지하철 5호선

서울 지하철 5호선 (? 地下鐵 五號線)은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있는 방화역과 서울특별시 강동구에
 있는 상일동역 및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있는 마천역을 잇는 서울교통공사의 도시 철도 노선이다.
 서울 지하철 및 수도권 전철의 일부를 이룬다. 모든 구간이 지하이며,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노선의 색은 보라색이다. 전 구간을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지하철 사각지대인 서울 강서 ~ 도심 ~ 강동, 마천지역을 동서로 연결하여 시내 각 지역으로의 접
근도를 향상키기고 도심교통 수요를 외곽으로 분산하는 방사형 노선으로, 지하철 수혜에서 소외된
 강서, 고덕, 마천 등에서 도심근접을 40분 이내로 가능하게 함을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차량기지
를 제외한 전 구간이 지하이며, 한강 또한 교량이 아닌 하저터널을 통해 건넌다. 하저 터널은 당
시 기술력으로는 광폭 터널을 만들기 어려웠으므로 상·하행선이 구분되어 있는 단선 쌍굴 형태로,
 한강 수심보다 약 25 m 정도 더 깊은 곳에 위치한다. 대한민국 도시철도 최초로 전자동 무인운전
과 1인 승무제를 도입한 노선이기도 하다.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地下鐵6號線)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은평구의 응암역과 중랑구의 봉화산
역을 잇는 서울특별시의 도시 철도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운행 계통이다. 모든 구간이 지하이며,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노선색은 황토색이며, 색의 뜻은 행복이다. 전 구간을 서
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은평구와 중랑구 간을 용산구를 경유하여 한강 이북 지역을 동서로 연결하는 노선으로,
노선의 일부가 순환선의 형태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6호선의 개통으로 서울 지하철은 거미줄 형태
의 방사형 전철망이 완성됨으로써 도심과 부도심이 직접 연결되게 되었다. 6호선 역시 5호선과 마
찬가지로 차량기지를 제외하면 전 구간이 지하로 이루어져 있다.






서울 지하철 7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서울地下鐵7號線)은 대한민국 경기도 의정부시의 장암역에서 인천광역시 부평구
의 부평구청역을 잇는 서울교통공사의 도시 철도 노선이다. 수도권 전철 및 서울 지하철의 일부를
구성하며, 서울특별시의 2기 지하철 계획의 일환으로 건설되었다. 노선의 색은 올리브색이며, 색의
 뜻은 성장·발전이다.







서울 지하철 8호선

서울 지하철 8호선(서울地下鐵8號線)은 서울특별시 강동구의 암사역과 경기도 성남시의 모란역을 잇
는 서울특별시의 도시 철도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 운행 계통이다. 노선 색은 핑크색으로, 색 뜻은
낭만·사랑이며, 전 구간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고 있다.






서울시메트로9호선

서울시메트로구호선 주식회사(서울市메트로九號線 株式會社, Seoul Metro Line Nine Corporation)는
 서울 지하철 9호선의 건설, 관리 및 운영을 목적으로 설립된 NH농협금융지주 소속의 주식회사이다.
  개화역 - 종합운동장역 총연장 : 31.3 km 역수 : 30개










분당선

분당선(盆唐線)은 서울특별시 성동구의 왕십리역과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의 수원역을 잇는 한국철도
공사의 철도 노선 및 수도권 전철의 운행 계통을 가리키는 말이다. 초창기엔, 서울특별시 강남구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를 이을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나, 단계적인 구간 연장으로 수원, 용인 및 한강 이
북 지역을 잇는 간선 교통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안내되는 노선의 고유색은 수인선과 동일한 노란
색이다.






신분당선

신분당선(新盆唐線)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강남역과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에 있는
 광교역을 잇는 광역철도 노선으로, 네오트랜스가 운영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2011년 10월 28일에 개통
되었다. 노선 색상은 심홍색이다.





경의선

경의선(서울역-판문역) . 경의선(京義線)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서울역과 경기도 파주시의 도라산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이다. 원래는 서울과 신의주를 잇는 철도이지만, 한반도 분단 이후 서
울역에서 군사분계선 이남의 도라산역까지만 경의선으로 불리게 되었다. 서울역부터 문산역까지 수도권
 전철이 운행하며, 문산역부터 도라산역까지는 일반열차가 운행하고 있다.









중앙선(청량리역-경주역)

중앙선(中央線)은 경원선 청량리역과 동해선 경주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 노선이다. 일반적
으로는 중앙본선만을 가리켜 ‘중앙선’이라 부르는 경우가 많으나, 정식 명칭은 중앙본선이며, ‘중앙
선’은 중앙본선과 그 지선으로 불린다. 경부선에 이은 대한민국 제2종관선으로, 일제 강점기 한반도와
 만주 등의 지하자원 수탈과 여객·화물의 원활한 수송을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청량리역부터 지평역까
지는 수도권 전철이 병행 운행되며, 2017년 12월 22일부터 경강선 KTX-산천이 중앙본선을 경유한다.








경춘선

(京春線)은 중앙선 망우역과 춘천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 노선이다.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ITX-청춘 열차가 주로 운행하며, 복선 전철화 이전에는 무궁화호 등 일반열차가 운행하기도 하였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仁川國際空港鐵道)는 서울역에서 용유차량기지와 인천공항2터미널역을 잇는 간선철도
노선이다. 안내, 홍보, 노선도 등에서는 공항철도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A'REX(에이렉스)[1]라는 약칭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수익형 민자사업으로 건설된 철도 노선이다. 서울역에서 인천공
항2터미널역까지 인천국제공항선과 인천공항1터미널역에서 용유차량기지까지 용유차량기지선, 인천공항2
터미널역에서 용유차량기지까지 용유차량삼각선으로 구분한다. 노선 안내에 사용되는 일반열차의 색상은
 파란색 계열의 ‘바다색’이며, 직통열차의 경우 주황색이다.





수인선

수인선(水仁線)은 경기도 시흥시의 오이도역과 인천광역시 중구의 인천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이다.

과거 대한민국 철도청 시절에는 수원역과 남인천역을 잇는 협궤 철도였으며, 1972년 수려선 폐선 이후 대
한민국의 유일한 협궤 노선으로 남았다가 안산선 개통 이후 수원 - 한대앞 구간으로 단축되었고, 1996년
 1월 1일 운행이 중지된 이후 2015년 9월 4일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2004년 12월 28일부터 표준궤 복선
 전철화 사업이 시작되어 2012년 6월 30일 오이도 - 송도, 2016년 2월 27일 송도 - 인천 구간이 점진적으
로 개통하였다. 현재 수도권 전철이 운행되며, 안내 등에 사용되는 고유색은 직결 운행 예정인 분당선과
동일한 노란색이다








용인 경전철

용인 경전철(龍仁 輕電鐵)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있는 기흥역과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에 있는 전대·
에버랜드역을 잇는 용인경량전철의 경전철 노선이다. 2011년 4월 16일 개통 예정이었으나, 일부 노선 구
간의 소음 민원과 시설물 안전에 관련된 문제점과 공사 시행사와 최종운영권자인 용인시와의 갈등으로 인
하여 개통되지 못하고, 개통 시기는 여러 차례 무기한 연기되었으나, 이후 국제중재법원의 중재를 거쳐
용인시가 용인경량전철에 배상금을 정산하면서 해결되어, 2013년 4월 26일에야 뒤늦게 개통되었다. 안내
 등에 사용되는 색은 연두색이다.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 도시철도 1호선(仁川都市鐵道一號線)은 인천광역시 계양구의 계양역과 인천광역시 연수구의 국제업
무지구역을 잇는 인천교통공사의 도시 철도 노선이다. 수도권 전철을 구성하는 노선 중 하나이다. 안내 등
에 사용되는 노선색은 하늘색이다.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인천 도시철도 2호선 (仁川都市鐵道二號線)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서구의 검단오류역과 인천광역시 남동
구의 운연역을 잇는 인천교통공사의 도시 철도 노선이다. 2009년 6월 26일 착공하여 2016년 7월 30일에 개
통하였다. 노선 길이는 29.1km이며, 이 중 지상 구간은 6.3km이다.[2] 안내 등에 사용되는 노선색은 주황
색이다.






--------------[기타]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서울 輕電鐵 牛耳新設線)은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의 북한산우이역과 동대문구
의 신설동역을 잇는 서울 경전철 노선이다. 노선 색은 연두색과 서울 경전철 주조색인 진한 회색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