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1. 21.

[한국민요] 아리랑 각 도별 버전 - 밀양아리랑 북한아리랑 등등..


[한국민요] 아리랑 각 도별 버전 - 밀양아리랑 북한아리랑 등등..




[서편제 진도아리랑]

[김영임 진도아리랑]


[김연자 '밀양아리랑']

[송소희 강원도 아리랑]



[북한 아리랑]

[각 도별 아리랑 버전들]




아리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어원
첫 번째로 흥선대원군의 경복궁 중수 무렵 고향을 떠나는 부역꾼들이 '나는 님과 이별한다'는
뜻으로 아리랑(我離娘)을 불렀다는 설, 두 번째로 밀양 아리랑의 전설의 주인공 '아랑'을 애도
한 노래에서 유래했다는 아랑전설(阿娘傳說), 세 번째로 신라 박혁거세의 아내 알영부인을 찬
미한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 등이 있다.이밖에도 뜻이 없다는 설 등 여러 설이 있으나 현재로써
는 구음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는 설이 가장 유력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여러 가지 아리랑
아리랑은 지역별로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알려진 것은 정선아리랑, 강원도아리랑,
밀양아리랑, 진도아리랑, 해주아리랑 등이 있다. 경기아리랑 또는 '신아리랑'이라 불리는 아리
랑은 19세기 말~20세기 초에 만들어진 것이다.

수백에 가까운 변종이 있었을 정도로 즐겨 불리던 이 민요는 후렴부와 독창부가 번갈아 가면서
불리도록 이루어져 있다. 아리랑 변형판의 제목은 “아리랑” 앞에 기원한 장소나 가사의 의미를
 따와 붙인다.

최초의 아리랑은 정선 아리랑으로 600여 년 전에 강원도 정선군에서 만들어졌다. 하지만 가장
유명한 아리랑은 경기도에서 130~100여 년 전에 만들어진 “본조(本調) 아리랑(신 아리랑, 경
기 아리랑)”이다. 본조라고는 하지만 최초(또는 원조)는 아니다. 흔히 “아리랑”이라 하면 본조
 아리랑(이하 경기 아리랑)을 가리킨다.

구한말의 선교사 헐버트는 아리랑을 채보하여 영문 월간지 '한국소식' 1896년 2월호에 실었는데,
이것이 아리랑을 서양음계로 처음 채보한 것이다. 이때 헐버트는 아리랑은 한국인에게 쌀과 같
은 존재라고 소개를 하였다. 최초로 채보된 아리랑은 문경새재 아리랑이다. 1926년의 한국 최초
의 장편 영화 “아리랑”의 주제 음악으로 쓰여 유명해졌다. 2002년 월드컵에서는 '상암아리랑'이
울러퍼졌다.







편곡
아리랑은 최근 많은 방식으로 편곡되고 있다. 예를 들어 북한 공훈예술가 최성환 편곡의 관현악
판 편곡에서부터 시작해서 오마주 투 코리아(Homage to Korea)나 아리랑 랩소디(Arirang
 Rhapsody),최근엔 아리랑 판타지(Arirang fantasy)등이 있다.



-----------------------


□ 한민족의 얼과 한이 담겼다고 한다. 내용이 대체로 슬프고 한스러운게 특
징이기도 하다.



□ 경기 아리랑

후렴인데 후렴이 앞에 있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1절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가서 발병난다

2절
청천(靑天)하늘엔 별도 많고
우리네 가슴엔 한도 많다

3절
저기 저 산이 백두산이라지
동지 섣달에도 꽃만 핀다




□ 밀양 아리랑

날 좀 보소 날 좀 보소 날 좀 보소
동지 섣달 꽃 본 듯이 날 좀 보소

후렴
아리아리랑 쓰리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1절
정든 임이 오시는데 인사를 못해
행주 치마 입에 물고 입만 벙긋

2절
울너머 총각의 각피리 소리
물긷는 처녀의 한숨 소리

3절
네가 잘나 내가 잘나 그 누가 잘나
구리 백통 지전이라야 일색이지









□ 강원도 아리랑


후렴
아리아리 쓰리쓰리 아라리요
아리아리 고개로 넘어간다

1절
아주까리 동백아 열지 마라
누구를 괴자고 머리에 기름

2절
열라는 콩팥은 왜 아니 열고
아주까리 동백은 왜 여는가

3절
산중의 귀물은 머루나 다래
인간의 귀물은 나 하나라

4절
흙물의 연꽃은 곱기만 하다
세상이 흐려도 나 살 탓이지

5절
감꽃을 주우며 헤어진 사랑
그 감이 익을 땐 오시만 사랑

6절
만나 보세 만나 보세 또 만나 보세
아주까리 정자로 만나 보세






□ 정선 아리랑
대원군 시절 경복궁 중건 때 정선에서 온 인부들에 의해 아리랑이 전국 각지로
 퍼졌다는 설이 있다.

눈이 올라나 비가 올라나
억수 장마 질려나
만수산 검은 구름이 막몰려온다

후렴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고개로 넘어간다

아우라지 뱃사공아[2] 배좀 건네주게
싸리골 올동백이 다 떨어진다

후렴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고개로 넘어간다

위는 대표적인 두 개의 가사고 실제로는 가사가 엄청나게 많다. 진도 아리랑이나 밀양
아리랑과는 다르게 축축 처지는 느낌이다. 이는 산길이 험한 정선의 지형 특징이 묻어
난 나, 밭을 매러 산에 오를 때 불렀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반대로 아래의 엮음 아리랑은 산을 내려올 때 불러서 매우 박자가 빠르다고 한다.

우리집에 서방님은 잘났던지 못났던지 얽어매고 찍어매고
장치다리 곰배팔이 노가지 나무 지게 위에 엽전 석 냥 걸머지고

강릉 삼척에 소금 사러 가셨는데
백복령 구비구비 부디 잘 다녀 오세요

후렴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고개로 넘어간다





□ 진도 아리랑

구전 과정에서 2500여 개가 넘는 가사가 민초들의 애환을 담아 만들어졌다. 여기에 게시된
가사는 이 중 비교적 널리 알려지고 무난한 것이 올려진 것.

후렴
아리 아리랑 스리 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응응[3] 아라리가 났네

1절
문경 새재는 웬 고갠가
구부야 구부구부가 눈물이로다
(후렴)

2절
약산 동대 진달래꽃은
한 송이만 피어도 모두 따라 피네
(후렴)

3절
나 돌아간다 내가 돌아간다
떨떨거리고 내가 돌아간다
(후렴)

4절
치어다보느냐 만학은 천봉
내려굽어보니 백사지로구나
(후렴)

5절
만경 창파 둥둥 뜬 저 배야
저기 잠깐 닻 주거라 말 물어 보자
(후렴)

영화 서편제에 나오는 진도 아리랑은 위 가사와는 차이가 많은데 영화적 연출을 위해 가사
를 늘린 것. 이 영상은 영화 연출을 공부할 때 "롱 테이크(long-take)"[4] 기법의 예시로도
많이 사용된다.



이 외에도 각 지역마다 각기 다른 아리랑이 있었다고.(ex. 상주 아리랑,해주 아리랑) 하지만
나머지는 거의 전승되는 과정에서 소실되었다.




□ 현대에 창작된 아리랑 - 홀로 아리랑
한돌 작사, 작곡. 한돌이 부른 버전과 서유석이 부른 버전이 있다.

1절
저 멀리 동해바다 외로운 섬
오늘도 거센바람 불어오겠지
조그만 얼굴로 바람 맞으니
독도야 간밤에 잘 잤느냐

후렴
아리랑 아리랑 홀로 아리랑
아리랑 고개를 넘어가 보자
가다가 힘들면 쉬어가더라도
손잡고 가보자 같이 가보자

2절
금강산 맑은 물은 동해로 흐르고
설악산 맑은 물도 동해 가는데
우리네 마음은 어디로 가나
언제쯤 우리는 하나가 될까
(후렴)

3절
백두산 두만강에서 배 타고 떠나자
한라산 제주에서 배 타고 가자
가다가 홀로섬에 닻을 내리고
떠오르는 아침해를 맞이해 보자
(후렴)


□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

우리나라 정부는 2011년 아리랑을 국가 문화재로 지정하고 내년에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록하겠다고 했다.

그리고 2012년 12월 6일, 유네스코는 5일(현지 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 7차 무형유
산위원회(Intergovernmental Committee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에서 한국 정부가 신청한 아리랑의 등재를 확정했다.

2014년 11월 26일 북한의 아리랑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됐다.

-발췌출처 ; 나무위키


-----

□ 우리 민족의 노래 ‘아리랑’이 태동한 배경에 대해 남한과 북한이 전혀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학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남한에서는 아리랑 노래가 나온 배경으로 다음 세가지 이야기가 유력한 설로 전해져 온다.
첫째는 조선시대 밀양의 한 처자를 애도하는데서 비롯됐다는 설.밀양의 한 사또의 딸 이
름이 ‘아랑’인데 중추원 소속 관리의 횡포에 항거하다 죽임을 당했다는 것.주변 사람들이
이 처자의 억울한 죽음을 애도하느라 ‘아랑 아랑’ 하던 것이 아리랑으로 변천됐다는 주장
이다.

두번째는 신라 시조 박혁거세의 부인으로 우물로 내려온 용에게서 태어난 것으로 전해지는
‘알영’ 왕비를 추모한데서 비롯됐다는 설.우물 이름이 알영정이고 태어난 아이의 이름 또한
 알영으로 지어 왕비를 삼았는데 백성들이 나중에 ‘알영 알영’ 하며 추모한 것이 노래로 전해
졌다는 것이다.

세번째는 흥선대원군의 경복궁 건축에 얽힌 전설로 두가지 이야기.첫째는 경복궁을 지을
때 막대한 돈을 내라고 재촉가자 백성들이 “차라리 내 귀를 어둡게 해달라(我耳聾)’는 의미
로 ‘아이롱 아이롱’ 노래불렀다는 것과 부역에 끌려온 남자 인부들이 집에 두고 온 아내를
그리며 “내 낭자(부인·娘)과 헤여졌구료(我離娘)’라고 노래불렀다는 설이 전해져 온다.

반면 북한은 “내 사랑하는 낭군(남편·郞)과 헤어지는구려”라는 의미의 한문인 아리랑
(我離郞)을 사용하고 있다.북측이 밝힌 아리랑 전설은 다음과 같다.

조선시대 중엽 김좌수라는 지주가 착취를 일삼자 농민들이 반란을 일으키고 김좌수의 남자
머슴 ‘리랑’과 리랑과 연인사이인 여자종 ‘성부’도 반란에 동참한다.관에서 반란을 진압하
고 나서 농민들이 떼죽음을 당하고 리랑과 성부는 탄압을 피해 산으로 도망간다.숨어지내
던 리랑은 마을 사람들의 원수를 갚아아 한다며 다시 반란을 일으키기 위해 마을로 내려간다.
이때 성부가 남편과의 이별이 서글퍼 ‘아리랑, 아리랑’하며 즉흥적으로 노래불렀다는 것.
북한은 “아리랑의 어원은 문자 그대로(我離郞) 나의 랑군(님)과 헤어진다는 뜻에서 유래된
 곡명이며 때로 남편인 리랑의 이름에서 유래됐다는 설도 있다”고 밝히고 있다.


-국민일보 2002.02.04.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 글에서 발췌
http://www.koreartnet.com/wOOrII/initial/list0202/020204_03.html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