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10. 20.
[국악] 새타령
[국악] 새타령
새타령은 밝고 재치넘치는 새의 묘사가 인상적이다. 여기에 원조 새
타령이라는 적벽가의 내용이 어우러져 묘한 힘과 의지까지 느껴져
내가 좋아하는 곡 중 하나다.
적벽대전에서 백만대군을 잃고 도망가는 조조가 문득 하늘을 보니
원귀가 된 새들이 지저귄다. 조조는 이에 절망않고 그들을 위로하며
다시 일어날 것을 다짐한다.
마침내 조조는 재기에 성공하고 왕위에 오른다....
원곡은 애절하다는데, 판소리는 내가 선호하는 분야가 아니라 생략.
민요풍 편곡과 병창을 감상해보시길..^^
---------------------------------------------------
남도잡가. 화창한 봄날 즐겁게 지저귀는 여러 가지 새들의 모습을 멋있게
그리고 있는 노래이다.
분류 : 민속악 > 성악 > 잡가 > 남도잡가
전라도지역 전문 소리꾼들에 의하여 전창된 남도잡가 가운데 한 곡이다.
새타령은 노래 한 곡을 다 부르는 데 9분 이상 소요될 정도로 길고 창법도
어려워, 수준 높게 발달한 노래 중 한 곡으로 손꼽힌다. 가사의 내용을 보면,
화창한 봄날 경치 좋은 곳에서 즐겁게 지저귀는 여러 가지 새들의 모습을
멋있게 그리고 있다. 새들의 모양을 묘사하는 방법도 한문을 써서 격조 있게
표현하기도 하고, 새소리를 의성어로 노래하여 듣는 이의 흥취를 자아내기도
한다. 노래의 짜임새는 처음 자진중모리장단에 맞추어 엮어 부르는 서창 부
분과 중모리장단에 맞추어 부르는 본창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노랫말은 아래와 같다.
(서창)
삼월 삼짇날 연자(燕子) 날아들고 호접(蝴蝶)은 편편(翩翩)
나무나무 송림(松林) 가지 꽃 피었다. 춘풍(春風)을 떨쳐
원산은 암암(暗暗) 근산은 중중(重重) 기암(寄巖)은 층층(層層) 태산이 울어
천리 시내는 청산(靑山)으로 돌고 이 골 물이 주루루루루루 저 골 물이 콸콸
열의 열두 골 물이 한데로 합수(合水)쳐 천방저 지방저 월턱져 구부쳐
방울이 버큼져 건너 병풍석(屛風石)에다 마주 쾅쾅 마주 때려
산이 울렁거려 떠나간다. 어디메로 가잔말
아마도 네로구나 이런 경치가 또 있나. 아마도 네로구나 이런 경치가 또 있나.
(본창)
새가 날아든다 온갖 잡새가 날아든다.
새 중에는 봉황새 만수 문전(萬樹門前)에 풍년새
산고곡심무인처(山高谷深無人處) 울림(鬱林) 비조(飛鳥) 뭇새들이
농춘화답(弄春和答)에 짝을 지어 쌍거쌍래(雙去雙來) 날아든다
말 잘하는 앵무새 춤 잘 추는 학 두루미 솟땡이 쑥국 앵매기 뚜리루 대천의 비우
소루기 수리수리루 에~헤에~ 이쁜 새 좌우로 다녀 울음 운다.
(후략)
[네이버 지식백과] 새타령 (국악정보, 2010. 7., 국립국악원)
----
새타령
<적벽가(赤壁歌)> 중 적벽대전에서 패하여 죽은 조조의 군사들이 원조(怨鳥)라는
새가 되어 자신들을 죽음으로 몰아넣은 조조를 원망하는 내용의 소리 대목.
<새타령>은 민요, 잡가, 단가, 판소리 <수궁가(水宮歌)>와 <흥보가(興甫歌)> 및
<춘향가(春香歌)> 그리고 남사당패의 줄고사소리 등에서 두루 확인된다.
적벽가 중 <새타령>은 다른 갈래로 존재하던 기존의 <새타령>을 기반으로 하여
형성된 작품으로 보인다. 수궁가에 있는 <새타령>이나 잡가로 불리고 있는 <새
타령>은 밝고 경쾌한데 비해, 적벽가의 <새타령>은 <원조타령(怨鳥打令)>으로
일컫는 데서 알 수 있듯이 죽은 군사의 원혼이 새가 되어 자신을 죽음으로 몰아넣
은 위정자에 대한 원망을 늘어놓는 사설이기 때문에 처절하고 비감한 느낌을 자아
낸다. 이는 적벽가 <새타령>이 기존 작품에 바탕하면서도 적벽가의 문맥에 맞게
개작되어 삽입되었기 때문에 생긴 현상이다.
<새타령>은 현전 창본에 모두 수용되어 있다. 소리 대목 사설의 짜임은, ‘새 이름-
원망하는 사연-울음소리(신재효본, 김연수본)’ 혹은 ‘원망하는 사연-울음소리-
새 이름(이외의 창본)’의 구조로 되어 있다. 원망하는 사연은 적벽대전에서 죽은
군사의 혼령이 각 새 이름과 관련된 고사나 적벽대전에서 있었던 일을 엮어 조조의
악행을 비난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창본 가운데, 봉황·비취·자고·앵무·비둘
기·감정새는 신재효본에만 나온다. 그리고 초혼조는 모든 창본에 나오며, 창본마다
편차를 보이면서 흉년새·까마귀·꾀꼬리·따오기·호반새·쑤국새·종조리·비쭉새·게오
리·째째구리 등이 나온다. 필사본에도 『화롱도』 낙질본을 제외하고 모두 있다.
내용
해당 대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산천은 험준하고 수목은 층잡하여 만학에 눈쌓이고
천봉에 바람칠제 화초목실이 바이 없고 앵무
원학이 끊졌거늘
새가 어이 울랴마는 적벽강 화염 중의 불타 죽은
군사들이 원조라는 새가 되야 조승상을 원망하여
울더니라.
2. 나무 나무 가지 가지 앉어 우난 각새 소리
도탄에 쌓인 군사 슬피 우는 저 촉혼조
여산 군량이 소진하고 촌진 노략할 때로다
솟 텡텡 저 흉년새.
백만 군사를 자랑터니 금일 패군이 무삼 일고
비쭉 비쭉 저 비쭉새.
자칭 영웅 간 곳 없고 백계도생을 꾀로만 한다
아리라오 저 꾀꼬리.
탄평대로 어디 두고 심산총림 찾어간다
가옥 가옥 저 가마구.
가련타 저 주린 장졸 냉병인들 아니 들었으랴
병에 좋다 쑥국 쑥국 저 쑥국새.
특징 및 의의
<새타령>은 적벽가의 대표적인 눈대목으로, 중모리장단으로 불린다. 음악적으로 잘
짜여 있으며 새소리를 모사하는 장면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제대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명창의 상당한 기량이 요구된다. <새타령>은 각종 새의 열거·나열을 통해
군사들의 애환을 비감하게 드러냄으로써, 원작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와 구별
되는 판소리 적벽가의 독자적 주제 의식을 구현하는 데 일조하고 있다.
집필
김기형(金基珩)/고려대학교
참고문헌
새타령의 전승과 변모(김석배, 동리연구 창간호, 동리연구회, 1993년)
새타령의 전승과 삽입가요로서의 수용 양상(김기형, 민족문화연구26,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3년)
적벽가 연구(김기형, 민속원, 2000년)
적벽가 연구(최동현·김기형 엮음, 신아출판사, 2000년)
적벽가 전집(김진영 외, 박이정, 1998년)
[네이버 지식백과] 새타령
(한국민속문학사전(판소리 편), 국립민속박물관)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가장 많이 본 글
-
[죽음] 탈출구는 없었다 목매 자살 의사 ------------------------------------------------------------------------------ 도움이 필요하십니까? 도움이 필요하거나 우울하...
-
[상식] 색깔 의미 색채심리 빨주노초파남보 상징 컬러 판단 뇌는 풀을 녹색으로 인식한다. 하지만 색깔과 관련해 기분이 오싹해지는 점은 그것이 아무데도 없다는 것이다. 풀이든 뇌든 그 사이의 공간이든 어디든, 물리적 ...
-
[이모티콘] 문자로 감정 표현하기 특수문자 바로써먹기 특수문자 일일이 찾아 입력하기 힘드시죠. 제 노하우를 공개합니다. 임의의 파일을 하나 작성하여 자주쓰는 특수문자를 모아넣습니다. 그리고 필요 할때 찾아 쓰시면 됩니다. 블로그...
-
[유머] 긴장하셨나 봐요? 40대 초반의 아줌마가 카바레를 갔다. 대기하고 있던 제비의 제안을 받고 홀에 나갔다. 상대가 핸섬한 30대 중반의 남자라서 그런지 오늘따라 긴장된다. 스텝이 잘 안 되고 몸이 뻣뻣하다. 그러...
-
[미스테리] 뇌수술 후 타국어를 유창하게 하게 된 사람들 01 뇌수술을 받은 크리스 그레고리와 부인 매리 최근 영국 잉글랜드 요크셔에서는 뇌혈관이 파열돼 뇌수술을 받은 크리스 그레고리(30)가 평소 소박한 특유의 잉글랜드 북부 ...
-
[유머] 달님 부부의 소원 달님 부부가 동전을 던지고 우물가에서 소원을 빌고 있었다.. 먼저 달님이 몸을 굽혀 소원을 빌고 동전을 던졌다 . 남편도 소원을 빌러 몸을 굽혔다 하지만 몸을 너무 많이 굽히는 바람에 우물속에 빠져 죽...
-
[죽음] 일산화탄소 중독 사고 사망 연탄 가스 숯불구이 먹다 ‘털썩’…여름철 밀폐공간 일산화탄소 중독 위험 입력 : 2018.07.04 08:55 오전 청주 장어집서 9명 집단 병원 이송…작년 여름 식당 조리원 13명 중독 ...
-
[감동예화] 못생긴 나의 도장 나에게는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도장이 있다. 이미 20년이나 지난 초등 교 6학년 때의 일이다. 중학교에 입학하려면 입학원서에 찍을 도장이 필요하다며 선 님께서 도장을 가져오라고...
-
[베스트] 무협영화 100 명작 추천 리스트 중국영화 지난번 무협지 베스트를 소개한데 이어 오늘은 무협영화 베스트를 소개한다. 80-90년대를 휩쓸었던 중국 무협류는 오늘날 거의 자취를 감췄고, 대신 미국 만화 ...
-
[당뇨병] 무증상대책 문답 혈당내리는 음식 식이요법 [당뇨병에 대한 질문과 답변] 당수치가 250 이상으로 나와 한 달간 식이요법 및 운동을 하고 나니 오늘 당수치가 100으로 나왔습니다. 정상인가요 아님 저혈당인가요? 당...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