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10. 8.
[유머] 무통분만
[유머] 무통분만
나는 자연 무통 분만 법을 가르치고 있는데 첫 시간에는
강의를 하고 둘 째 시간에는 수강자들인 부부들에게 마룻
바닥에서 호흡법과 몸이 이완 법을 실습하도록 한다.
어느 날 저녁 나는 "임신중의 성생활"이라는 제목으로 강
의를 하고 나서 의문 나는 점이 있으면 물어 보라고 말했다.
잠시 기다렸다가 다음 순서를 진행하려는데 수강자들이 갑
자기 폭소를 터뜨렸다.
나는 몇 초 후에야 내가 무슨 말을 했는지 깨달을 수 있었다.
나는 이렇게 말했던 것이다.
"자, 임신중의 성생활에 대해서 질문이 없다면,
모두들 바닥에 누워서 실습을 해봅시다."
----------
무통 분만 - 진통이 두려울 때
임신과 출산을 맞이하는 임신부에게 무통 분만이라는 말은
굉장히 매력적으로 다가설 것입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진
통과 분만을 겪는 과정에서 완전한 무통 분만을 할 수 있는
의학적인 기술은 아직 존재하지 않습니다. 단지 진통을 경감
시키거나 진통의 어느 기간 동안 마취를 함으로써 진통을 없
애 보려고 노력할 따름입니다.
진통을 없앤다는 의미에서 일반적으로 무통 분만이라는 말
을 널리 사용하고 있지만, 학술적으로는 마취 분만이라고 하
거나 산과 마취라고 하는 것이 올바른 명칭입니다. 출산에
수반되는 통증을 없애기 위한 여러 방법 중에서 마취를 하여
통증을 없앤다는 의미에서 이렇게 부르는 것입니다.
마취 분만도 일단은 4cm 정도 자궁문이 열려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즉 진통을 어느 정도는 견뎌야 하는 것이지요. 그
러므로 일단은 호흡법 등을 익혀서 어느 때고 감통 효과를 보
도록 준비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무통 분만 - 진통이 두려울 때 (건강한 출산 A to Z, 차병원)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가장 많이 본 글
-
[죽음] 탈출구는 없었다 목매 자살 의사 ------------------------------------------------------------------------------ 도움이 필요하십니까? 도움이 필요하거나 우울하...
-
[상식] 색깔 의미 색채심리 빨주노초파남보 상징 컬러 판단 뇌는 풀을 녹색으로 인식한다. 하지만 색깔과 관련해 기분이 오싹해지는 점은 그것이 아무데도 없다는 것이다. 풀이든 뇌든 그 사이의 공간이든 어디든, 물리적 ...
-
[건강체조] 도인술 국민체조 매일 30분 따라하기 15분 근력운동 아래자료는 仙道요법 : 잘되면 신선, 못되도 무병장수의 건강이 남는다 / 高藤聡一郎 란 책을 발췌했고, 인터넷에서 보충자료를 첨가했다. 필자...
-
[상식] 닉네임 모음 웃기는 이름짓기 별명 00 별명콘테스트 하하...구욘세...........좋은별명같지요? 뜻을 알면.....이런 스바라시..... 허벅지가 하도 굵어서 친구들이 붙혀준 별명.........구욘세.....제 ...
-
[아니마 아니무스] 남자 속의 여자 여자속의 남자 anima 01 그는 누가봐도 강직하고 남자답다고 인정 받는 사람이다. 리더쉽에 결단력, 추진력, 동료애가 있고 개인적 감정에 좌우되지 않는 공평한...
-
[상식] 자기도취 왕자 - 공주병 대처법 나르시시즘 Narcissism □ 나르시즘 블로거 최근에 부각되고 있는 나르시시즘의 주인공은 바로 인터넷 블로거들이다. 자신의 컨텐츠...
-
[심리] 동조 생존의 조건 행동 현상 따라하기 모방본능 00 [과학뉴스] 거친 혀를 타고 ‘오르락 내리락’ 래퍼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랩 ‘디스전’이 TV 등을 통해 인기를 끌고 있다. 막상 가사를 들어보면 욕설과 인신공격, 1...
-
[음악잡담] 살아있는 시체 좀비 Michael Jackson-Thriller [음악동영상 Michael Jackson | Thriller] 01 미국의 실제 좀비사건 영화에서나 등장하던 좀비사건이 미국에서 발...
-
[건강상식] 편한 잠 잠자는 수면자세 ---------------------------------- 건강에 영향 주는 8가지 수면 자세 허핑턴포스트코리아 | 작성자 권복기 게시됨: 2014년 10월 08일 14시 23분 ...
-
[기독교 성경] 성서는 완벽한가? 성경무오설 축자영감설 본글은 성서사본학의 거장인 바트 어만의 '성경 왜곡의 역사'를 발췌요약한 글이다. 정통교단에서 인정하는 본문비평학*/ 성서전승 연구의 권위자인 그의 글을 읽으면,...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