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이론] 백일몽 - 호접몽 일장춘몽 비몽사몽
01
안녕하세요 평범하게 학교 생활을 지내고 있는 10대 소녀입니다.
제가 여기에 질문할 것은 다름아닌 백일몽 때문인데요. 이제는 혼자 있는 시간에 일
상이 되어버렸습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정말 이상없고 친구관계도 완만한 편입니다.
친구들과 있을때는 아무 생각도 안들고 현실에 충실하며 가상세계 생각은 들지 않습
니다.
작년 10월부터 지속된 백일몽은 현실 가능성이 없는 것을 생각을 하며 혼자 만족해
하고 있습니다. 현실과 제가 만든 가상세계는 구별을 잘 합니다.
그러나 이제 제가 곧 고등학교도 들어갈거고 이러다 진짜 심각해지면 어쩌나해서 올
려봅니다. 진짜 저는 심각해요. 누군가에게 이 창피함을 알리고 싶지않아 이렇게 모
르는 사람들에게 물어봅니다.
02
제가 백일몽이심해요. 언제부턴가 상상을하게됬고 그상상이 비현실적인것도있지만
주로 제가 원하는삶을 상상해요. 근데그게 점점심해져요. 어쩔때는 현실과 구분 못 할
때도있고 그냥아무것도않하고있으면 바로 상상만해요.하고싶지않아도 저도모르게 하
게되서 저도모르게 상상을해서 제가원하는걸또 상상하고있어요.
마약이나 담배중독같이 점점 중독되고있어요. 상상을하는게 너무 지긋지긋해요.
어떻게 해야적당히 상상을하거나 상상을 그만 멈출수있나요??
-네이버지식인 질문들
-------------------------------------------------------------------
백일몽 白日夢 -네이버국어사전
대낮에 꿈을 꾼다는 뜻으로, 실현될 수 없는 헛된 공상을 이르는 말.
철이 들면서 조금씩 세상 물정을 알게 되자 그때 아버지가 말하던 진사의 뜻이란
게 얼마나 허망한 백일몽인가를 알게 되었다. 출처 : 송기숙, 녹두 장군
---
백일몽 [ day-dreaming , 白日夢 ]
충족되지 못한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비현실적인 세계를 상상하는 것.
사전적 의미로는 한낮에 꾸는 꿈이란 뜻으로, '헛된 공상'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이다. 자신에게 충족되지 못한 욕망이 직·간접적으로 충족되는 비현실적인 세계
를 생각하거나 상상하는 과정 또는 그러한 꿈을 말한다.
현실세계에서 인간은 자신의 과도한 욕망을 저지하려고 행동하기 마련인데, 백
일몽은 그 저지 상황을 해결하는 일종의 도피현상이다.
백일몽은 크게 정복자형과 순교자형의 두 유형으로 구별된다. 정복자형의 백일
몽을 꿈꾸는 사람은 자기자신을 강력한 힘, 지식, 높은 지위, 인기, 명성을 얻는
승리의 주인공과 동일시함으로써 거기에서 자기실현, 우월성, 지배력 등의 만족
의 기쁨을 얻는 것이고, 순교자형은 자기를 실패와 무능, 근심에 싸인 비극의 주
인공으로 동일시하는 것이다.
백일몽은 불만족스러운 현실의 처지에서 벗어나려는 비교적 보편적인 해결방법
이기는 하지만, 그것이 너무 지나치게 되고 습관화되면 자기 자신을 현실에서
격리시키게 되므로 위험하다.
몽상이나 환상은 비현실적 관념, 표상의 수동적인 계열적 과정으로서 반드시
도피적인 의미를 갖지 않는다는 점에서 백일몽과 구별된다.
참조항목공상, 꿈
[네이버 지식백과] 백일몽 [day-dreaming, 白日夢] (두산백과)
---
1. 백일몽 2. 몽상(夢想)
각성상태에서 공상의 형태로 나타나는 꿈과 유사한 의식상태를 가르킨다. 그 내용은
원망충족적 인것이 많지만 그 원망은 꿈과 달리 상징적인 변용이나 왜곡을 받지 않
고 있다. 유아나 어린이에 많이 나타나며 이것은 그 심성이 공상과 현실이 침투하기
쉬운 의식상태에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성인의 경우, 백주몽은 현실생활의 부적응,
욕구불만시에 보이는 방위기제인「도피」의 한 형식으로 간주한다.
출처 간호학대사전, 대한간호학회편, 1996.3.1, 한국사전연구사
--------------------------
[더 읽을 거리]
□ 환상 또는 공상 [ FANTASY ]
환상의 일반적인 예는 백일몽(daydream)이다. 백일몽은 성적, 공격적 또는 과대적 소
망을 만족시키는 정신작용으로서, 상상 속에서 실연되는 소망 성취의 한 형태이다.
환상의 가장 순수한 형태는 변화된 정신 상태에서 발생하는데, 이것은 잠들기 전의
상태와 비슷하다. 이 상태를 때로는 몽상(reverie)이라고 부른다. 또한 거의 모든 사람
들은 외부 세계의 어떤 상황이나 사람에 완전히 몰두해 있는 동안에 발생하는 개인적
“이야기들”에 익숙해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친숙하게 경험하는 의식적 환상의 일반적 유형들은 다음과 같다:
자위를 수반할 수도 있는 욕구 충족에 대한 환상(성적 정복이나 특별한 성적 활동);
복수, 보상 또는 큰 실수나 치욕적 사건의 취소(“난 그 말을 하지 말았어야 해”)에 관한
환상; 큰 부, 대성공, 성취, 인정, 권력, 명성 또는 아첨에 관한 환상; 폭력적이거나 파괴
적인 행동에 관한 환상.
무의식적 환상 또는 그것의 파생물에 대한 체계적 분류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
나 환상의 일부 유형들은 모든 문화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것 같다. 이런 것들로는 탄
생, 임신, 원색 장면, 매맞는 환상, 근친상간, 거세, 양성애 그리고 신분이 높은 부모의 숨
겨진 자손(가족 로맨스) 등이 있다.
이런 환상들은 프로이트(1908)의 에세이, “아동의 성에 관한 이론”(On the Sexual Theories
of Children)에서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환상 내용은 심리 성적 조직의 각 단계와 발달적
으로 또는 퇴행적으로 관련될 수 있다. 환상의 일부 유형들은 정신병리와 밀접하게 관련
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양성애 환상은 히스테리 환자들에게서 흔히 발견되며,
다른 사람과 하나가 되거나 융합되는 환상은 심각한 정신 질환에서 흔히 발견된다.
환상은 꿈, 심리적 증상, 성격 특질을 산출하는 것 외에도 더 많은 기능들을 갖는다. 심리적
경험과 초기 경험이 모든 문화에 걸쳐서 유사하기 때문에 환상은 문화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다. 이러한 일치가 감정이입과, 창조적 작품을 산출하고 그것을 즐길 수 있는 토대가 된다
(Arlow, 1969a; Sachs, 1942). 또한 환상은 방어적으로 사용된다(A. Freud, 1936). 영원히 현
존하며 계속되는 환상적 사고는 우리가 외부 자극을 지각하고 이 자극을 생활 사건으로 조직
화하는 “마음의 장치”(set of mind)를 부분적으로 결정한다. 그러므로 “우리가 의식적으로
지각하고 경험하는 것은 경험과 무의식적 환상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 작용의 결과이다”
(Arlow, 1969a, p. 23).
-발췌출처 : 환상 또는 공상 [FANTASY]
(정신분석용어사전, 2002. 8. 10., 서울대상관계정신분석연구소[한국심리치료연구소])
---
□ 胡蝶之夢 호접몽 [오랑캐 호/ 나비 접/ 갈 지/ 꿈 몽]
'장자'의 내편 중 두번째 장인 '제물론(齊物論)'에서 나온 고사성어다.
昔者莊周夢為蝴蝶,栩栩然蝴蝶也,自喻適志與!不知周也。
俄然覺,則蘧蘧然周也。
不知周之夢為蝴蝶與,蝴蝶之夢為周與?周與蝴蝶,則必有分矣。此之謂物化。
옛날에 장주가 꿈에 나비가 되었는데,
훨훨 나비처럼 날아다니는 것이 스스로 기뻐 스스로를 잊었노라
홀연 깨어 일어나 보니 인간 장주로 돌아왔구나
알지 못할 손 장주가 꿈에 나비가 된 것인가,
나비가 꿈에 장주가 된 것인가?
여기서 장주와 나비 사이에 반드시 구분이 있지만
그것은 만물의 변화일뿐, 즉 물화니라
이 고사를 통해 장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만물에 구분이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뜻은
'알지 못하겠다. 장주가 꿈에 나비가 된 것인가, 나비가 꿈에 장주가 된 것인가?
(不知周之夢為蝴蝶與,蝴蝶之夢為周與?)'라는 말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다.
물론 눈에 보이기에 장주와 나비 사이에는 구분이 있다. 그러나 만물의 변화(物化) 속에서 이것
은 의미가 없다. 따라서 어느 한 관점을 갖고 고착될 나(我)는 존재하지 않으며, 만물에는 구분
이 없다. 따라서, '장주의 나비 꿈'은 역으로 '나비의 장주 꿈'과 차이가 없다.
영화 매트릭스를 평할때 한 70%의 평론가는 이 고사를 들먹이곤 한다. 나비와 인간, 어느 쪽이
현실이고 어느 쪽이 꿈인지 모르는 상황이 현실이라고 믿어왔던 게 사실은 가상이었다는 매트
릭스의 상황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발췌편집 : 나무위키에서
---
□ 한단지몽 邯鄲之夢 [조나라서울 한, 땅이름 감/ 조나라서울 단/ 갈 지/ 꿈 몽]
한단에서 꾼 꿈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부귀 영화는 일장춘몽과 같이 허무함을 이르는 말
당나라 현종 때 여옹(呂翁)이라는 도사가 있는데, 하루는 한단이라는 곳에 있는 한 주막에서 쉬
고 있었다. 그때 허름한 차림의 노생(盧生)이라는 젊은이가 들어와 한참 신세타령을 하더니 여
옹의 베개를 베고 잠이 들었다.
그 베개는 도자기로 된 베개로 양쪽에 구멍이 있었는데, 그 구멍이 차차 커지는 것이 아닌가!
노생이 이상히 여겨 그 속으로 들어가 보니 훌륭한 집이 있었다. 노생은 거기서 최씨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고, 진사 시험에도 급제하여 경조윤(京兆尹)을 거쳐 어사대부, 이부시랑에까지
올랐다.
그는 한때 모함으로 좌천되기도 했으나, 다시 재상으로 등용되어 천자를 보필하였다. 그러다가
모반 사건에 연루되었다 하여 포박되었다. 그때 그는 고향에서 농사나 지을 걸 하는 후회 때문
에 자결하려다가 아내가 말리는 바람에 뜻을 이루지 못했다.
몇 년 뒤, 노생은 무죄로 판명되어 다시 중서령이 되고, 연국공에 봉해져 천자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그 후 다섯 아들과 십여 명의 손자를 두고 행복한 나날을 보내다가 노환으로 죽고 말았
다.
노생이 언뜻 깨어 보니 모든 것이 꿈이었다. 주모가 끓이던 조(粟)가 아직 익지도 않은 짧은 시
간이었다. 노생이 이상히 여겨 "어찌 꿈일 수 있는가?"하자 여옹은 웃으며 "인생지사 또한 이와
같은 것이라네."하고 말했다고 함
[출전] 沈旣濟(심기제)의 枕中記(침중기)
---
□ 비몽사몽 非夢似夢 [아닐 비/ 꿈 몽/ 같을 사/ 꿈 몽]
☞ 꿈인지 생시인지 어렴풋한 상태(狀態)
몽중몽 夢中夢 [꿈 몽/ 가운데 중/ 꿈 몽]
☞ '꿈속의 꿈'이란 뜻으로, '덧없는 세상(世上)살이'의 비유
일장춘몽 一場春夢 [하나 일/ 마당 장/ 봄 춘/ 꿈 몽]
☞ 한바탕의 봄꿈처럼 헛된 영화나 덧없는 일이란 뜻으로, 인생의 허무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댓글 없음:
댓글 쓰기